의류 세탁 - 오구(汚垢)의 종류와 특성
본문 바로가기
고양이손의 패션공부/세탁공부

의류 세탁 - 오구(汚垢)의 종류와 특성

by 고양이손83 2025. 3. 4.
반응형

의류세탁
의류세탁 - 오구

 

의류 세탁 - 오구(汚垢)의 종류와 특성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려면 오구(汚垢, dirt & stains)의 종류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해요.

오구는 크게 신체로부터 발생하는 오구와 환경으로부터 발생하는 오구로 나눌 수 있으며 오구의 부착 상태에 따라 세탁 방법도 달라져요.

 

신체로부터의 오구

신체에서 발생하는 오구는 주로 땀, 피지, 체액 등의 분비물과 음식물 관련 얼룩이 포함되요.

이러한 오구는 시간이 지날수록 섬유에 깊이 스며들어 제거가 어려워질 수 있어요.

 

(1) 피지 및 땀 얼룩

  • 특징: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은 시간이 지나면서 산화되어 누렇게 변할 수 있음.
  • 예시: 와이셔츠의 칼라 부분, 겨드랑이 부분의 얼룩
  • 제거 방법: 알칼리성 세제를 사용하거나 산소계 표백제를 활용하면 효과적

(2) 혈액 및 단백질 오염

  • 특징: 혈액, 타액, 유제품 등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는 오구는 단백질이 응고되면 제거가 어려워짐.
  • 예시: 코피가 묻은 손수건, 계란이나 우유가 튄 옷
  • 제거 방법: 미지근한 물로 헹구고 단백질 분해 효소가 포함된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

(3) 음식물 및 기름 얼룩

  • 특징: 기름기와 색소가 포함되어 있어 섬유에 강하게 부착됨.
  • 예시: 커피, 와인, 과일즙, 샐러드드레싱 등이 묻은 옷
  • 제거 방법: 즉시 흡수제를 이용해 닦아내고 중성세제나 주방세제로 부분 세탁

환경으로부터의 오구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구는 먼지, 흙, 공해물질 등으로 구성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의류의 변색과 섬유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요.

 

(1) 먼지 및 흙 얼룩

  • 특징: 공기 중 먼지, 바닥의 흙 등이 섬유 사이에 침투함.
  • 예시: 바지를 입고 앉았을 때 묻은 흙, 장마철 진흙 얼룩
  • 제거 방법: 마른 상태에서 털어낸 후 세탁. 심한 경우 산소계 표백제 활용

(2) 공해 및 배기가스 오염

  • 특징: 대기 중의 오염물질(매연, 담배 연기 등)이 섬유에 흡착됨.
  • 예시: 야외 활동 후 의류의 회색빛 변색
  • 제거 방법: 세제를 이용한 기본 세탁 후 필요시 산소계 표백제 사용

(3) 곰팡이 및 기타 생물학적 오염

  • 특징: 습기와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 곰팡이가 발생하며 악취를 동반함.
  • 예시: 장기간 보관 후 발생하는 곰팡이 얼룩 세탁 후 충분히 건조되지 않아 생긴 냄새
  • 제거 방법: 식초 또는 과탄산나트륨을 활용한 세탁. 햇볕 건조 필수

오구의 부착 상태와 제거 방법

오구의 부착 상태에 따라 적절한 세탁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부착상태 특징 제거방법
물리적 부착 먼지, 흙 등이 섬유 표면에 얕게 부착됨 털어내거나 물로 씻어 제거
화학적 결합 피지, 땀 등이 섬유와 결합하여 변색을 유발 알칼리성 세제 또는 표백제 활용
흡착 및 침투 기름, 색소 등이 섬유 깊숙이 침투 유기용제(주방세제 등) 활용 후 세탁
고착화된 오염 장기간 방치된 얼룩, 혈액 등이 단단히 붙어 있음 단백질 분해 효소 세제 및 불림 세탁

 

 

옷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구의 종류와 특성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세탁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구가 오래 방치될수록 제거가 어려워지므로 신속한 처리가 필요하며, 세제와 표백제를 적절히 활용하여 효과적인 세탁을 실천하세요!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