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복식: 실용성과 권위의 조화 (재작성)
본문 바로가기
고양이손의 패션공부/서양복식문화

로마 복식: 실용성과 권위의 조화 (재작성)

by 고양이손83 2024. 1. 4.
반응형

서양복식 로마

로마 복식: 실용성과 권위의 조화

고대 로마는 그리스 문화를 계승하면서도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특징은 로마 복식에도 반영되어 권위와 위엄을 나타내는 동시에 실용성을 갖춘 독특한 의복 문화를 형성했다.

 

1. 로마 문명의 배경

  • 지중해의 중심: 이탈리아 반도에 위치하여 다양한 문화와의 교류가 활발했다.
  • 온화한 기후: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드레이퍼리 형태의 의복이 발달했다.
  • 현실적인 종교관: 현실적이고 물질적인 종교관은 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크리스트교: 크리스트교는 로마 복식 그리고 서양 복식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사회 제도: 위엄, 양감, 박력이라는 특성은 독특한 사회 제도에 의한 영향이 크다.
  • 에트루리아 문화: 에트루리아는 로마의 원주민이며 그들의 복식은 로마 복식에 영향을 주었다.

2. 로마 복식의 특징

  • 드레이퍼리: 그리스의 히마티온에서 발달한 토가를 대표적인 의복으로 착용했다.
  • 권위와 위엄: 토가는 로마의 대표적인 의복으로 권위와 위엄을 나타냈다.
  • 실용성: 튜니카는 실용적인 원피스 형식의 옷으로 평상복으로 착용했다.
  • 계급 구분: 의복의 색상, 장식, 착용 방식 등으로 계급을 구분했다.

3. 로마 복식의 종류

  • 토가: 로마의 대표적인 의복으로 팔각형, 반원형, 타원형의 천을 몸에 둘러 착용했다.
  • 튜니카: 그리스의 도릭 키톤에서 발달한 원피스 형식의 옷으로 토가 속에 착용하거나 평상복으로 착용했다.
  • 스톨라: 그리스의 키톤이 변형되어 발전한 여성용 의복으로 튜니카보다 넓은 형태이다.
  • 팔라: 그리스의 히마티온을 여성들이 착용했을 때 부르는 이름으로 몸을 감싸는 형태로 착용했다.
  • 팔리움: 그리스의 히마티온을 남성들이 착용했을 때 부르는 이름이다.
  • 테베나: 에트루리아 인의 독창력으로 만들어진 드레이퍼리 의복이다.

4. 머리 모양 및 장식

  • 금발 선호: 로마인들은 금발을 이상적으로 여겨 블론드 인모를 수입하거나 염색을 했다.
  • 기혼 여성: 복잡한 머리 모양을 즐겼고 미혼 여성은 단순한 머리 모양을 했다.
  • 머리띠: 처음에는 단순한 천 조각이었으나 점차 보석으로 장식된 관 형태로 발전했다.

5. 로마 복식이 패션에 미친 영향

  • 그리스 복식 계승: 로마 복식은 그리스 복식을 계승하면서도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 의복의 부피와 양감 강조: 그리스 복식보다 의복의 부피와 양감을 더욱 강조했다.
  • 제식과 관습: 제식에서 토가나 베일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추는 관습이 있었고 그리스에서 신부의 흰색 베일이 로마에서는 크리스트교 신부용으로 사용되었다.
  • 다양한 색상과 장식: 로마인들은 오렌지색이나 심홍색의 베일을 썼으며 다양한 색상과 장식을 활용하여 의복을 꾸몄다.

로마 복식은 권위와 실용성을 동시에 추구했던 로마인들의 가치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2024.01.03 - [고양이손의 패션공부/서양복식문화] - 그리스 복식: 인체의 아름다움을 담은 드레이퍼리 패션 (재작성)

 

그리스 복식: 인체의 아름다움을 담은 드레이퍼리 패션 (재작성)

그리스 복식: 인체의 아름다움을 담은 드레이퍼리 패션 고대 그리스는 온화한 기후와 자유로운 문화 속에서 인체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독특한 복식 문화를 발전시켰다. 드레이퍼

keynatas.com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