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딕 복식: 첨예한 아름다움과 개성의 시대
고딕 시대는 중세 유럽의 문화와 예술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로 건축뿐만 아니라 복식에서도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첨두형의 날카로운 아름다움과 개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는 현대 패션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 고딕 시대의 배경
- 고딕 양식의 등장: 고트족에서 유래된 고딕 양식은 건축, 조각, 회화 등 예술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 첨두형 외관: 하늘을 찌를 듯한 뾰족한 탑, 첨두 아치 등 날카로운 형태가 특징이다.
- 스테인드글라스: 빛과 순수한 색으로 종교적 감정과 미적 감각을 자극했다.
- 직물 공업의 발달: 다양한 직물과 화려한 장식이 등장했다.
- 십자군 전쟁: 가문의 문장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2. 고딕 복식의 특징
- 첨두형 실루엣: 뾰족한 구두, 높은 모자, 톱니 모양의 옷단 등 날카로운 형태가 유행했다.
- 화려한 장식: 금사, 보석, 자수 등 화려한 장식이 사용되었다.
- 개성 중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이 등장하여 개성을 표현했다.
- 문장 사용: 가문의 문장이 복식에 사용되어 신분을 나타냈다.
- 남녀 복식 변화: 남녀 복식 모두 몸에 꼭 맞는 형태와 과장된 장식이 나타났다.
3. 고딕 복식의 종류
- 코트 (Cote)
- 몸에 꼭 맞는 튜닉으로 길이가 길고 다양한 소매 디자인이 있었다.
- 코타르디 (Cotardi)
- 남녀 모두 착용한 옷으로 몸에 꼭 끼고 단추 장식이 많았다.
- 여성용은 스커트가 넓게 퍼지는 형태였으며 티페(Tippe)라는 긴 끈 장식이 있었다.
- 쉬르코 (Surcoat)
- 남녀 모두 착용한 겉옷으로 다양한 형태와 장식이 있었다.
- 사이들리스 가운, 타바르, 가나슈, 가르드코르, 시클라스 등 다양한 변형이 있었다.
- 우플랑드 (Houppelande)
- 남녀 모두 착용한 품이 넓고 긴 겉옷으로 화려한 소매 디자인이 특징이다.
- 푸르푸엥 (Pourpoint)
- 남성용 갑옷 안에 입는 옷으로 몸에 꼭 맞고 단추 장식이 많았다.
- 후기에는 겉옷으로 착용했으며 짧은 길이와 퍼프 소매가 유행했다.
- 로브 (Robe)
- 여성용 겉옷으로 다양한 디자인과 장식이 있었다.
- 벨트로 허리를 강조하고 스커트를 드레이프하여 입었다.
- 쇼스 (Chausse)
- 남성용 다리 옷으로 처음에는 튜브 모양이었으나 나중에는 팬티호스 형태로 발전했다.
- 코드피스(Codpiece)라는 남성 성기 보호대가 등장했다.
- 맨틀 (Mantle)
- 남녀 모두 착용한 긴 겉옷으로 화려한 색상과 모피 장식이 사용되었다.
4. 고딕 복식이 패션에 미친 영향
- 첨두형 실루엣은 현대 패션의 날카로운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 화려한 장식과 개성적인 스타일은 현대 패션의 다양한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
- 가문의 문장 사용은 현대 패션의 로고와 문양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 남녀 복식의 변화는 현대 패션의 젠더리스 스타일에 영향을 미쳤다.
고딕 복식은 중세 시대의 아름다움과 개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며 현대 패션에도 지속적인 영감을 주고 있다.
2024.02.19 - [고양이손의 패션공부/서양복식문화] - 로마네스크 복식: 중세 초기 유럽의 간결하고 실용적인 스타일 (재작성)
로마네스크 복식: 중세 초기 유럽의 간결하고 실용적인 스타일 (재작성)
로마네스크 복식: 중세 초기 유럽의 간결하고 실용적인 스타일로마네스크 시대는 동유럽의 비잔틴 문화와는 대조적으로 서유럽에서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이후 형성된 독특한 문화를 바탕으로
keynatas.com
반응형
'고양이손의 패션공부 > 서양복식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네상스 복식 2편: 여성복의 혁신과 화려한 장식의 시대 (재작성) (0) | 2024.10.18 |
---|---|
르네상스 복식 1편: 인체미의 극대화와 남성복의 혁명 (재작성) (0) | 2024.03.28 |
로마네스크 복식: 중세 초기 유럽의 간결하고 실용적인 스타일 (재작성) (0) | 2024.02.20 |
중세 비잔틴 복식: 화려함과 권위의 상징 (재작성) (0) | 2024.02.14 |
로마 복식: 실용성과 권위의 조화 (재작성) (0)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