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본문 바로가기
고양이손의 패션공부/현대패션모드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by 고양이손83 2025. 2. 5.

현대패션모드 1940년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1940년대 사회적 배경과 패션 경향

1940년대는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으로 인해 패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다시 화려함과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스타일이 유행하며 패션의 황금기가 시작되었다.

 

1. 1940년대 사회적 배경

1) 제2차 세계대전과 패션의 변화

  • 1939년 시작된 제2차 세계대전은 1945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전쟁 동안 대부분의 국가에서 의류 원단과 장식품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 여성들은 남성을 대신해 공장, 군수 산업, 의료 분야에서 일하게 되었으며 활동성을 강조한 옷차림이 필요해졌다.
  •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용적이고 간결한 디자인이 유행하게 되었다.

2) 원단 배급제와 실용적인 패션

  •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쟁 기간 동안 의류 원단 배급제(Rationing system)가 시행되었다.
  • 실크와 나일론 같은 고급 원단은 군수품(낙하산, 군복 등) 제작을 위해 사용되었고 대중들은 제한된 원단으로 실용적인 옷을 만들어야 했다.
  • 불필요한 장식이 줄어든 미니멀한 디자인이 유행했으며 단순한 실루엣이 강조되었다.

3) 전쟁 후 패션의 부활 (1945년 이후)

  • 1945년 전쟁이 끝난 후 경제 회복과 함께 새로운 여성미를 강조한 패션 트렌드가 나타났다.
  •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이 1947년 발표한 뉴 룩(New Look)은 패션의 획기적인 전환점을 만들었다.
  • 화려한 곡선미와 풍성한 스커트가 유행하면서 전쟁 중의 간결한 스타일에서 벗어나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2. 1940년대 패션 경향

1) 전시(戰時) 패션: 실용성과 기능성의 강조 (1939~1945)

 

여성 패션: 활동성을 강조한 미니멀 룩

 

- 패드가 들어간 직선적인 어깨 라인

  • 남성 군복에서 영향을 받아 어깨에 패드를 넣어 강한 실루엣을 만들었다.
  • 이는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더 강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반영한 스타일이었다.

- A라인 스커트 & 미디 길이(무릎 길이) 스커트

  • 원단이 제한되면서 긴 드레스 대신 무릎 길이의 A라인 스커트가 유행했다.
  • 플리츠(주름) 디테일이 최소화된 단순한 디자인이 특징이었다.

- 셔츠 드레스(Shirt Dress)

  • 군복 스타일에서 영감을 받은 셔츠형 드레스가 등장하여 실용성과 단정한 분위기를 강조했다.

- 팬츠 스타일의 유행

  • 전쟁 중 많은 여성들이 공장에서 일하면서 바지 스타일이 대중화되었다.
  • 와이드 팬츠, 하이웨이스트 팬츠, 멜빵바지 등이 등장했으며 이는 오늘날 여성들의 팬츠 패션의 기초가 되었다.

- 실용적인 원단 사용

  • 울, 코튼, 개버딘(Gabardine)과 같은 튼튼하고 내구성이 강한 원단이 사용되었다.
  • 실크와 나일론은 군수 물자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은 면(코튼) 스타킹을 착용해야 했다.

남성 패션: 군복 스타일과 단정한 실루엣

  • 전쟁으로 인해 많은 남성이 군복을 착용하면서 민간 의류에서도 군복 스타일이 반영되었다.
  • 어깨가 강조된 수트, 베이직한 트렌치코트, 심플한 셔츠 스타일이 유행했다.
  • 전후에는 클래식한 더블 브레스트 수트(Double-breasted suit)가 다시 등장하며 남성적인 멋을 강조했다.

 

2) 전후(戰後) 패션: 화려함과 여성스러움의 복귀 (1945~1949)

전쟁이 끝난 후 패션은 다시 한 번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1947년 크리스찬 디올의 뉴 룩(New Look) 탄생

  • 1947년 크리스찬 디올은 패션 역사상 가장 혁신적인 스타일 중 하나인 뉴 룩을 발표했다.
  • 부드러운 어깨선, 잘록한 허리, 풍성한 플레어 스커트가 특징이었다.
  • 전쟁 중의 실용적인 스타일과 대비되는 화려한 디자인으로 여성미를 극대화하는 트렌드가 시작되었다.

1940년대 후반 여성 패션 특징

 

- 잘록한 허리와 곡선미 강조

  • 전쟁 중 중성적인 실루엣에서 벗어나 여성스러운 곡선이 강조된 스타일이 유행했다.
  • 허리를 조여주는 코르셋과 벨트가 다시 등장했다.

- 풍성한 플레어 스커트

  • 스커트 길이가 다시 길어졌으며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A라인 또는 플레어 스타일이 유행했다.

- 고급스러운 소재 사용

  • 전쟁이 끝나면서 실크, 새틴, 벨벳 등 고급스러운 원단이 다시 등장했다.

- 모자와 장갑의 부활

  • 세련된 스타일을 완성하는 액세서리로 챙이 넓은 모자, 가죽 장갑, 진주 목걸이 등이 다시 유행했다.

 

3. 1940년대 패션의 의미와 현대적 영향

1940년대 패션은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실용성과 강한 여성상을 반영하다가 전후에는 다시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스타일로

변화했다.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 여성 팬츠 스타일의 대중화
  • 어깨를 강조한 실루엣과 미니멀 룩 트렌드
  • 크리스찬 디올의 ‘뉴 룩’이 오늘날의 여성스러운 스타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침
  • 실용적인 패션과 화려한 스타일의 조화를 통한 균형

4. 1940년대 패션 아이콘: 리타 헤이워드(Rita Hayworth) & 베티 그레이블(Betty Grable)

1940년대는 전쟁과 경제 회복을 거치면서 패션이 실용성과 화려함을 동시에 추구한 시기였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패션 아이콘으로는

리타 헤이워드(Rita Hayworth)와 베티 그레이블(Betty Grable)이 있다. 두 사람은 각각 할리우드 영화와 핀업 걸(Pin-up Girl) 문화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내며 당대 여성들에게 패션과 스타일의 영감을 주었다.

 

1) 리타 헤이워드 (Rita Hayworth) – 1940년대 헐리우드 글램 룩의 상징

 

스타일 키워드: 헐리우드 글램, 실크 드레스, 섹시한 웨이브 헤어

리타 헤이워드는 1940년대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여배우 중 한 명으로 그녀의 화려하고 여성스러운 스타일은 수많은 여성들의

워너비 룩이 되었다.

 

리타 헤이워드의 대표적인 스타일

 

- 몸에 밀착되는 실크 & 새틴 드레스

  • 부드러운 곡선을 강조한 드레스를 입으며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극대화했다.
  • 실크와 새틴 같은 고급스러운 소재를 사용한 슬립 드레스 스타일이 많았으며, 이는 후에 마릴린 먼로 같은 스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 우아한 오프숄더 & 깊은 브이넥 디자인

  • 어깨를 살짝 드러내는 오프숄더 드레스나 여성스러운 브이넥 드레스를 즐겨 입었다.
  • 이는 당대의 헐리우드 글램 룩(Hollywood Glam Look)을 상징하는 요소였다.

- 부드러운 웨이브 헤어 & 볼륨감 있는 스타일

  • 그녀의 붉은색 웨이브 헤어는 1940년대 대표적인 헤어 스타일로 자리 잡았다.
  • 굵은 컬을 넣어 우아하면서도 글래머러스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것이 특징이었다.

- 클래식한 액세서리 & 장갑 스타일

  • 진주 목걸이, 장갑, 턱시도 스타일의 코트 등을 활용하여 고급스럽고 세련된 스타일을 완성했다.

- 리타 헤이워드의 패션 영향력

  • 1940년대 헐리우드 글래머 스타일을 정립하며 이후 마릴린 먼로, 제시카 래빗 같은 캐릭터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웨이브 헤어와 실크 드레스 룩은 오늘날까지도 클래식하고 우아한 스타일로 사랑받고 있다.
  • 영화 *길다(Gilda, 1946)*에서의 블랙 새틴 드레스는 전설적인 패션 아이콘으로 남아 있으며 지금도 패션 역사에서 회자된다.

 

2) 베티 그레이블 (Betty Grable) – 1940년대 핀업 걸 스타일의 아이콘

 

 스타일 키워드: 핀업 걸 룩, 하이웨이스트 수영복, 발랄한 걸리시 패션

베티 그레이블은 1940년대 가장 유명한 핀업 걸(Pin-up Girl) 중 한 명이었으며 특히 군인들에게 사랑받던 사진으로 유명했다. 그녀의

스타일은 귀엽고 경쾌하면서도 여성스러운 느낌을 강조하며 현대에도 빈티지 룩을 연출할 때 참고되는 대표적인 스타일 중 하나이다.

 

베티 그레이블의 대표적인 스타일

 

- 하이웨이스트 수영복 & 쇼츠 룩

  • 그녀의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가 하이웨이스트 수영복을 입고 뒤를 돌아보는 포즈였다.
  • 이는 이후 수많은 핀업 걸 포스터 스타일의 시초가 되었으며, 1940년대 여성들 사이에서 큰 유행을 일으켰다.
  • 복부를 적당히 가려주면서도 다리를 길어 보이게 하는 디자인으로 오늘날에도 인기 있는 빈티지 스타일이다.

- 플레어 스커트 & 블라우스 스타일

  • 허리를 강조한 플레어 스커트와 타이트한 블라우스를 즐겨 입으며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 여성스러운 실루엣을 강조하면서도 활동성을 고려한 스타일이었다.

- 레트로 컬 헤어 & 리본 액세서리

  • 풍성한 컬을 넣은 헤어스타일과 헤어 리본, 작은 모자 등으로 귀여운 빈티지 룩을 완성했다.
  • 깔끔한 앞머리 스타일과 볼륨감 있는 컬이 1940년대 대표적인 헤어 트렌드가 되었다.

- 화사한 패턴 & 컬러풀한 스타일

  • 체크무늬, 도트 패턴 등의 화사한 원단을 활용한 의상을 자주 입었으며 이는 핀업 걸 스타일의 특징이 되었다.
  • 밝은 노랑, 레드, 화이트 등의 강렬한 컬러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는 당시 전쟁으로 힘들었던 사람들에게 활력을 주는 요소였다.

- 베티 그레이블의 패션 영향력

  • 핀업 걸 룩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이후 마릴린 먼로, 다이타 본 티즈 같은 스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하이웨이스트 스타일과 플레어 스커트 룩은 오늘날 레트로 패션 트렌드에서 자주 활용된다.
  • 그녀의 사진은 미군 병사들이 가장 많이 소장한 포스터로 기록될 만큼 인기가 높았으며 이는 그녀가 당대의 패션과 문화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1940년대는 패션이 실용성과 화려함 사이에서 균형을 찾던 시기였습니다.

리타 헤이워드 고급스럽고 여성스러운 헐리우드 글램 룩을 대표하며 우아한 실크 드레스와 섹시한 웨이브 헤어스타일로 유명했다.

베티 그레이블 발랄하고 사랑스러운 핀업 걸 스타일의 대표적인 인물로 하이웨이스트 수영복과 플레어 스커트 룩을 유행시켰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