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패션모드 - 1950년대
1950년대 사회적 배경과 패션 경향
1950년대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경제적 번영과 함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자리 잡은 시기였다. 이와 함께 패션 역시 전후 복구
시대의 실용적인 스타일에서 벗어나 화려하고 여성스러우며 우아한 스타일이 다시 부활했다.
또한 청소년 문화의 발전과 함께 록큰롤 패션, 청바지 스타일 등의 새로운 유행이 등장한 시기이기도 하다.
1. 1950년대 사회적 배경
1) 전쟁 후 경제 성장과 소비문화의 발달
-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미국과 서유럽은 빠르게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
- 전쟁 기간 동안 억눌렸던 소비 욕구가 폭발하면서 패션,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소비문화가 크게 발전했다.
- 특히 미국에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다양한 스타일의 옷이 쉽게 공급되었고 패션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했다.
2) 전통적인 성 역할 강조 – 여성의 우아함과 가정적 이미지
- 전쟁 중 공장에서 일하던 여성들은 다시 가정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이는 패션에도 영향을 주었다.
- 여성은 우아하고 품격 있는 스타일을 남성은 전통적인 신사 스타일을 강조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 특히 크리스찬디올의 뉴 룩(New Look,1947)이 1950년대 패션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전통적인 여성미가 강조된 실루엣이 유행했다.
3) 청소년 문화의 성장 – 록큰롤과 반항적인 패션 등장
- 1950년대는 이전까지 없었던 청소년 문화(Teenage Culture)가 본격적으로 형성된 시기였다.
- 록큰롤 음악(엘비스 프레슬리, 척 베리 등)의 유행과 함께 청소년들은 부모 세대와 다른 패션을 원하기 시작했다.
- 이를 통해 청바지(데님), 가죽 재킷, 블랙 가죽 구두 등의 반항적인 패션이 등장했고 이는 이후 1960~70년대까지 이어지는 자유로운 패션 문화의 시작이 되었다.
2. 1950년대 패션 경향
1) 여성 패션 – 곡선미를 강조한 우아한 스타일
뉴 룩(New Look) 스타일의 정착
크리스찬 디올이 1947년에 발표한 뉴 룩 스타일이 1950년대 내내 인기를 끌었다.
- 특징 -
- 잘록한 허리와 강조된 가슴 라인
- 볼륨감 있는 플레어 스커트 (A라인 또는 풀 스커트)
- 우아한 소재 (새틴, 실크, 울, 코튼 등)
대표적인 스타일 요소
- 플레어 스커트 & 페티코트
- 볼륨 있는 스커트를 더욱 풍성하게 하기 위해 페티코트(속치마)를 착용하는 것이 유행했다.
- 펜슬 스커트 & 바디컨셔스 실루엣
- 실루엣을 강조하는 펜슬 스커트도 인기를 끌었다.
- 특히 마릴린 먼로처럼 곡선미를 살리는 스타일이 여성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 트윈 세트 (Twin Set)
- 가디건과 니트톱을 세트로 매치한 스타일로 단정하고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인기였다.
- 클래식한 액세서리
- 진주 목걸이, 짧은 장갑, 챙이 넓은 모자 등이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액세서리였다.
2) 남성 패션 – 신사적인 스타일과 반항적인 패션의 공존
전통적인 신사 스타일 (Mad Men 스타일)
1950년대 남성 패션의 핵심은 고전적인 수트 스타일이었다.
- 특징 -
- 슬림한 실루엣의 수트 (회색, 남색, 갈색 등 차분한 색상)
- 넓은 라펠과 더블 브레스트 디자인
- 페도라(Fedora) 모자와 가죽 구두로 마무리
반항적인 ‘배드보이’ 스타일의 등장
엘비스 프레슬리와 제임스 딘 같은 스타들의 영향으로 기존의 클래식한 남성 패션과는 정반대의 반항적인 스타일이 등장했다.
대표적인 스타일
- 가죽 재킷 + 흰 티셔츠 + 청바지 (제임스 딘 스타일)
- 슬릭백 헤어스타일과 블랙 부츠
- 리바이스 501 청바지와 가죽 벨트
이는 이후 록큰롤과 청소년 문화의 상징적인 패션으로 자리 잡게 된다.
3) 청소년 & 캐주얼 패션 – 데님과 록큰롤 룩의 탄생
1950년대는 청소년 패션이 본격적으로 발전한 시기였다.
- 청바지(데님)의 대중화
- 이전까지 노동자들이 입던 데님 팬츠가 1950년대부터 젊은이들의 자유로운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 리바이스(Levi’s), 리(Lee), 랭글러(Wrangler) 등의 브랜드가 인기를 얻으며 청바지가 일상적인 패션으로 변신했다.
- 록큰롤 패션
- 엘비스 프레슬리의 영향으로 하와이안 셔츠, 가죽 재킷, 청바지 스타일이 유행했다.
- 여성들도 타이트한 바지(카프리 팬츠)나 폴카 도트 블라우스를 착용하며 경쾌한 스타일을 연출했다.
3. 1950년대 패션이 현대 패션에 미친 영향
- 뉴 룩 스타일의 지속적인 인기
- 크리스찬 디올의 실루엣은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사랑받으며 다양한 브랜드에서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 청바지와 캐주얼 패션의 대중화
- 1950년대 청바지 문화는 지금까지도 캐주얼 패션의 기본 요소로 남아 있다.
- 클래식한 수트 스타일의 계승
- 1950년대의 수트 스타일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포멀한 자리에서 활용되는 기본적인 남성 패션이다.
1950년대는 전통적인 우아함과 새로운 청소년 문화가 공존했던 시대였다.
여성들은 잘록한 허리와 풍성한 스커트로 우아함을 강조했으며 남성들은 클래식한 수트와 반항적인 청바지 룩을 동시에 즐겼다.
4. 1950년대 패션 아이콘: 그레이스 켈리, 마릴린 먼로, 오드리 햅번
1950년대는 패션의 황금기로 불릴 만큼 개성 넘치는 스타일 아이콘들이 등장한 시기이다. 그중에서도 그레이스 켈리(Grace Kelly),
마릴린 먼로(Marilyn Monroe), 오드리 햅번(Audrey Hepburn)은 각기 다른 매력과 스타일로 당대 여성들의 워너비가 되었고
현대 패션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그레이스 켈리 (Grace Kelly) – 우아함의 대명사
스타일 키워드: 클래식, 로열 스타일, 여성스러운 실루엣
그레이스 켈리는 1950년대 할리우드 스타에서 모나코의 왕비로 변신하며 그녀만의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패션을 확립했다.
그녀의 스타일은 절제된 우아함과 고급스러움을 강조한 클래식 룩으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레이스 켈리의 대표적인 스타일
- 뉴 룩(New Look) 실루엣
- 크리스찬 디올이 제안한 잘록한 허리와 풍성한 풀 스커트 스타일을 완벽하게 소화하며 세련된 여성미를 강조했다.
- 화려한 패턴보다 단색의 고급스러운 원단을 선호했다.
- 페미닌한 블라우스 & 펜슬 스커트
- 우아한 실크 블라우스와 몸에 핏되는 펜슬 스커트를 매치해 기품 있는 룩을 연출했다.
- 켈리 백(Kelly Bag)의 탄생
- 에르메스의 '켈리 백'은 그녀가 사용하면서 유명해졌으며 왕실 패션을 대표하는 아이템이 되었다.
- 트위드 & 코트 스타일
- 샤넬 트위드 수트나 A라인 코트를 즐겨 착용하며 기품 있는 스타일을 완성했다.
그레이스 켈리의 패션 영향력
왕실 패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아 이후 케이트 미들턴, 메건 마클 등 현대 왕실 인사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클래식하고 고급스러운 스타일은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우아함의 상징이 되었다.
2) 마릴린 먼로 (Marilyn Monroe) – 할리우드 글램의 상징
스타일 키워드: 섹시한 곡선미, 할리우드 글램, 화려한 무대 의상
마릴린 먼로는 1950년대 할리우드의 대표적인 섹스 심벌이었으며 그녀의 글래머러스한 패션과 아이코닉한 스타일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았다. 그녀의 패션은 몸매를 강조하는 실루엣과 화려한 디테일이 특징이며 지금까지도 많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마릴린 먼로의 대표적인 스타일
- 타이트한 실루엣의 드레스
- 허리를 강조한 피트된 드레스와 몸에 착 달라붙는 새틴 가운을 자주 입으며 여성스러운 실루엣을 극대화했다.
- 영화 7년만의 외출(The Seven Year Itch,1955)에서의 플리츠 화이트 드레스는 패션 역사에서 가장 아이코닉한 순간으로 남아 있다.
- 레드 립스틱 & 플래티넘 블론드 헤어
- 그녀의 스타일을 대표하는 것은 단연 강렬한 레드 립스틱과 플래티넘 블론드 헤어였다.
- 이는 이후 마돈나, 리한나 등 여러 팝스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캐주얼 룩도 섹시하게
- 심플한 흰 셔츠와 하이웨이스트 청바지를 착용해도 여성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 화려한 주얼리 & 퍼 스타일
- 다이아몬드 네클리스, 진주 귀걸이, 모피 숄을 활용해 할리우드 글램 룩을 완성했다.
- Diamonds Are a Girl’s Best Friend퍼포먼스에서 입었던 핑크 새틴 드레스는 지금도 상징적인 패션 아이템이다.
마릴린 먼로의 패션 영향력
할리우드 글래머 스타일의 대명사로 이후 많은 스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타이트한 드레스, 하이힐, 레드 립스틱 등의 요소는 지금도 섹시한 스타일을 연출할 때 자주 활용된다.
플리츠 화이트 드레스는 역사적인 패션 아이콘으로 남아 있으며 여러 영화와 광고에서 패러디되었다.
3) 오드리 햅번 (Audrey Hepburn) – 미니멀한 우아함과 프렌치 시크의 아이콘
스타일 키워드: 심플한 세련미, 미니멀리즘, 클래식한 블랙 드레스
오드리 햅번은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프렌치 시크와 미니멀한 우아함을 대표하는 스타일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그녀는 크리스찬 디올, 지방시(Hubert de Givenchy)와 함께 작업하며 미니멀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룩을 선보였다.
오드리 햅번의 대표적인 스타일
- 리틀 블랙 드레스(LBD) :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 (1961)
- 지방시가 디자인한 심플한 블랙 슬리브리스 드레스는 패션 역사에서 가장 상징적인 아이템 중 하나가 되었다.
- 이후 리틀 블랙 드레스는 모든 여성들의 머스트 해브 아이템이 되었다.
- 크롭 팬츠 & 발레리나 플랫 슈즈
- 몸에 잘 맞는 7부 팬츠와 발레 슈즈를 매치한 스타일은 캐주얼하면서도 우아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 단정한 화이트 셔츠 & 블랙 터틀넥
- 심플한 블랙 & 화이트 조합을 즐겨 입으며 세련된 미니멀룩을 완성했다.
-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 짧은 헤어 스타일
- 그녀는 화려한 메이크업보다 깔끔한 아이라인과 내추럴한 피부 표현을 선호했다.
- 짧은 커트 헤어스타일은 지적인 분위기와 세련된 느낌을 강조하는 요소였다.
오드리 햅번의 패션 영향력
- 리틀 블랙 드레스의 유행을 주도하며 이를 클래식한 아이템으로 자리 잡게 했다.
- 프렌치 시크 & 미니멀 패션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이후 알렉사 청, 빅토리아 베컴 등의 패션에도 영향을 주었다.
1950년대, 시대를 초월한 패션 아이콘들
- 그레이스 켈리 – 고급스러운 왕실 스타일과 우아한 룩
- 마릴린 먼로 – 섹시한 실루엣과 할리우드 글램 룩
- 오드리 햅번 – 미니멀한 세련미와 프렌치 시크
이들의 스타일은 지금까지도 패션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이콘으로 남아 있다.
2025.01.31 - [고양이손의 패션공부] -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1940년대 사회적 배경과 패션 경향1940년대는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으로 인해 패션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전쟁이 끝난 후에는 다시 화려함과 여성스러움을
keynatas.com
'고양이손의 패션공부 > 현대패션모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70년대 (0) | 2025.02.10 |
---|---|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60년대 (0) | 2025.02.07 |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40년대 (0) | 2025.02.05 |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30년대 (0) | 2025.02.03 |
[패션공부] 현대패션모드 - 1920년대 (0) | 2025.01.31 |